ⅰ. 서론
ⅱ. 여러 복합적인 요인
ⅲ. 치료
ⅰ. 서론
㉠. 무릎 구조에 대해
- 무릎의 구조는 다양한 증상이 있을 만큼 복잡한 조직들이 있습니다. 때문에, 단순히 어떤 한 상황만을 두고 원인이 어떠한 것이다, 병명은 이것일 것이다. 특정 지어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무릎은 단순히 걷기만 해도 체중의 3~5배 달하는 하중이 전달된 만큼 엄청난 부담과 대미지를 받고 있습니다. 걷는 게 이 정도라면 뛸 때, 계단 내려갈 때, 내리막길 내려갈 때는 더더욱 많은 충격이 가해지겠습니다.
㉡. 일상생활에서의 무릎부담
-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무심코 하게되는 다리꼬기, 아빠다리, 쪼그려 앉기, 무릎 꿇기 등 이러한 자세들도 무릎에 많은 대미지를 주게 되는 자세들입니다. 이렇듯 우리가 미처 인지하지 못했던 일상생활에서조차 이미 무릎은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답니다. 무릎은 계속 닳게 되며 재생이 안 되는 소모품 같은 부위기 때문에 방심하고 방치하다 시기를 놓치면 점점 더 힘든 상황을 맞게 될 수 있습니다.
㉢. 무릎보호대 착용
- 때문에 제일 좋은건 병원에 내원하시어 정확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는 게 가장 좋고 정확한 진단은 받아봐야 아시겠지만, 현재 증상이 있는데도 어떠한 보호 없이 그냥 맨 무릎으로 일상생활을 하게 되시면 앞서 글을 써놓았듯이 일상생활만으로도 무릎의 대미지는 계속 늘어나고 통증을 동반하는 더 큰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무릎 보호대 같은 보조 기구로써 일상에서의 지속적인 보호를 해 주는 것이 증상을 더 악화시키지 않으며 관리해 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무릎 보호대도 여러 타입이 잇어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알맞게 타입의 보호대를 착용해야 그 효과를 잘 볼 수 있습니다. 너무 두껍고 꽉 잡는 압박감의 보호대는 고강도 웨이트용, 그냥 일상생활에서의 착용하기에는 오히려 움직임에 방해가 되며 강한 압박에 무릎에 무리가 갈 수도 있습니다.
- 벨크로나 철심이 있는 타입의 보호대도 일상에서의 착용하기엔 사람마다 호불호가 있는데요. 철심지지대나 벨크로 부분이 피부를 자극하고 마찰하여 상처를 내거나 쓸리는 등의 불편함을 주기 때문입니다.
ⅱ. 여러 복합적인 요건
㉠. 슬개골 연골 연화증
- 아무리 해도 무릎에 통증은 없고 무릎에서 이유없이 뚝뚝 , 딱딱 소리가 난다면 첫 번째는 슬개골연골 연화증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슬개골의 원인은 선천적 구조의 이상, 햄스트링 대퇴사두근의 약화, 달리기와 같은 슬관절에 반복되는 스트레스를 주는 운동, 슬개골의 외상 및 탈구 등이 있습니다.
- 통증은 슬관절 주변에 국한되며 주로 슬개골 전방부에 뻐근한 통증이 심하고 슬관절을 굴곡 및 신전할때 슬개골이 대퇴골과 마찰되면서 소리가 나고 통증이 있는 염발음이 있습니다. 또한 장기간 통증이 지속되어 슬개골이 연화되어서 열을 동반한 슬관절 주변부의 부종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 반월판 연골손상
- 두번째론 반월판 연골손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이 질환은 대게 무릎에 회전력이 가해질 때 발생하므로 스포츠 운동 중 손상되는 일이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중년 이상의 환자에게는 대부분 별다른 외상 없이 발생합니다.(퇴행성 질환) 남성보다 여성이 흔하게 많이 나타납니다. 일상에서의 무릎에 누적된 부하와 스트레스가 병변의 원인이라고 합니다.
- 통증은 관절 전체에 뻐근한 통증이 나타날수 있고 통증과 종창으로 인해 걷기가 힘들어져 운동 제한이 될 수도 있고 슬관절 운동 중 갑자기 무릎이 구부러지지도 펴지지도 않는 파열된 연골판 조각이 위아래의 뼈 사이에 끼어 발생하는 관절 잠금현상도 나타납니다. 계단을 내려가거나 뛰어내릴 때, 안정성을 잃고 힘이 빠지는 관절 불안정증도 나오기도 하고요. 제일 중요한 관절 탄발음이라고 "관절 운동시 관절에서 소리가 날 수도 있는데 이는 흔한 증상은 아니고 남이 들을 수 있을 정도로 큰소리를 내는 연골판 파열이 통증을 유발하는 수반하지 않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무릎에 소리가 나더라도 통증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라고 합니다.
ⅲ. 치료
㉠. 슬개골 연골연화증
1. 휴식 , 안정화, 냉찜질을 시행하고 약물치료로 이부프로펜 같은 항염증 약물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2. 물리 치료는 대퇴사두근, 햄스트링, 대퇴내전근, 대퇴외전근 같은 슬개골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의 균형을 찾게 해 준다.
3. 수술적 치료는 슬개골의 탈구 및 부정렬을 고정하거나 슬개골의 연골 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다.
4. 한의학적 치료는
㈀. 추나요법-충격으로 경직되거나 뒤틀린 뼈와 근육을 바르게 교정
㈁. 침-인체의 기혈순환을 조절하여 풍, 한, 습, 열사 제거해서 근육과 인대의 손상치료 몸 전체적인 통증 완화
㈂. 약침-순수 한약성분 정제한 약침을 경혈에 주입
㈃. 한약-자생 한약은 손상된 연골을 보호하고 뼈를 재생하는 효과
㈅. 뜸-침 치료와 병행하면 통증 감소
㈆. 부항-인체 내 독소 배출 및 혈액 맑게 해 줌
㈇. 전침 치료-신경, 근육에 전기 자극해 줘서 경직된 근육 풀어주고 혈액순환 개선
㉡. 반월판 연골손상
1. 초기(급성기)에는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안정을 취하고, 1~2주간 압박 붕대, 부목, 석고 붕대, 소염제 등을 사용하여 통증과 부종을 감소하고, 급성 증상이 지난 후에는 관절운동 필수
2. 수술적 치료는 관절 내시경 치료이고 환부에 1cm 미만으로 작게 절개해서 관절 내시경을 집어넣은 후 모니터를 통해 손상된 반월판 연골을 보면서 치료를 합니다.
3. 한의학적 치료, 물리치료는 위 슬개골 연골연화증과 같이 비슷합니다.
'운동,헬스,뷰티의 모든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대 운동의 꽃 스쿼트 알아보기 (0) | 2023.12.08 |
---|---|
근막 이완을 무조건 해야되는 이유 (0) | 2023.12.06 |
운동[기초와 용어정리] (0) | 2023.12.06 |
스쿼트 나만의 최적의 방법과 나의 장비 (0) | 2023.12.06 |
보디빌딩 선수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세트간 휴식시간과 호르몬 변화' 연구 (0) | 2023.12.06 |